본문 바로가기

DevOps.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의 원리와 구성 요소

728x90

 

정사각형 안에 흑백의 기하학적 무늬가 그려진 코드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누구나 이 네모난 코드 안에 담긴 쿠폰, 상품 정보, 지도 등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QR 코드는 ‘Quick Response’의 줄임말로, 각종 데이터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QR 코드는 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DensoWave) 사에서 개발했다. 원래는 자동차 제조 산업의 생산 관리 시스템에 사용됐다고 한다.

 


QR 코드는 바코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코드는 말 그대로 여러 개의 막대(bar)로 구성된 부호(code)로 제조국가, 제조업체, 제품종류 등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 저장 방식이다. 바코드는 인쇄해서 상품에 부착하기 쉽고, 제품 목록과 가격 등의 정보를 바로 수집할 수 있어 현대의 거의 모든 상품에 활용된다. 과거에는 일일이 눈으로 제품을 파악하고, 손으로 가격을 계산기에 입력해야 했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오류도 많았다. 또 최대 2~30자의 정보밖에 담을 수 없고, 영문 이외의 다른 문자 정보를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QR 코드는 이 바코드를 2차원으로 만든 것인데, 2차원 바코드는 QR 코드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태그(Microsoft Tag),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이지 코드(EZ code)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QR 코드의 가장 큰 장점은 바코드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QR 코드는 최대 숫자 7,089개, 영문 문자 4,296개, 한글 문자 2,953개, 한자 1,817개, 최대 3KB 가량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정보를 기록하는 코드 내 셀의 수에 따라 버전1(21x21셀)부터 버전40(177x177셀)까지 종류가 나뉜다. 정보량이 적으면 QR 코드의 크기가 작고 단순하지만, 데이터를 많이 담을 수록 코드의 크기가 커지고 패턴도 복잡해진다. QR 코드 귀퉁이 세 군데에 있는 위치 찾기 심볼로 어떤 방향에서든 인식할 수 있다는 것도 바코드보다 편리한 점이다.

또, 인쇄된 코드가 더러워지거나 일부 손상될 경우에도 QR 코드의 흑백 점이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단계별로 복원률이 다르다.

L : 에러 복원률 7% / M : 에러 복원률 15% / Q : 에러 복원률 25% / H : 에러 복원률 30%

만일 코드가 H레벨로 인코딩 됐다면 QR 코드의 30%가 훼손돼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에러 복원률을 높게 설정할 수록 코드 이미지가 복잡해지고, 열과 행도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를 보유한 개발사 덴소웨이브가 QR 코드에 대한 저작권 및 권리 행사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누구나 오픈소스 도구를 통해 쉽게 QR 코드를 제작할 수 있다. QR스터프닷컴이나 퀵QR 등 개별 사이트, 네이버의 QR 코드 지원 서비스를 활용하면 된다.

기업은 QR 코드를 제품 택이나 웹 사이트, 전단지 등 다양한 곳에 실어서 지도, 동영상, 사진 등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URL 링크나 소비자 센터와 연결하기도 쉽다. 제품 이력 추적이나 출고, 재고 관리가 간편해져서 제조업, 소매업, 유통업은 물론, 의료업계의 건강 데이터, 의약품 관리까지 폭넓게 활용된다. 중국에서는 2010년부터 기차 표 인식 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QR 코드는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아 개인이 상품 정보 확인 및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이미 명함, 청첩장 등에도 쓰이고 있다.

물론 바코드처럼 일정한 거리 내에서만 인식할 수 있고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RFID나 아이비콘 기술도 등장한 상태다.

 

반응형

출처

QR 코드

꺼진(줄 알았던) 기술도 다시 보자!… ‘1994년생 QR코드’ 이야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