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네트워크, 보안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란,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와 IPv6와 IPv4 비교

728x90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란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를 가리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각자 고유의 주소를 갖는데, 기존 IPv4로는 늘어나는 기기를 감당할 수 없어 그 대안으로 등장했습니다. IPv6와 IPv4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는 주소의 길이가 기존 32비트에서 128비트로 늘어난 것입니다. 이에 따라 IPv4에서는 2의 32승, 즉 43억개 주소를 할당할 수 있지만 IPv6에서는 2의 128승, 사실상 무한대로 쓸 수 있습니다.

 

IPv6와 IPv4 차이점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이처럼 더 많은 인터넷 주소가 필요해진 것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급속도로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사물인터넷이 확산하면서 CCTV부터 시계, TV, 냉장고 등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습니다. 주소가 없어 이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 되겠죠. 그래서 지난 1994년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으로 채택된 이후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IPv6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부여받습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IP 주소를 받아 수동으로 설정하는 IPv4보다 편리해 졌습니다. 또한, 특정 트래픽은 실시간 통신 등 별도 처리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로우 레이블링(Flow Labeling)' 기능이 추가됐고,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통해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IPv6에서는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같은 주소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어디서든 고정된 IP 주소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서버나 다운로드하는 PC가 바뀌어 다운로드가 중간에 멈추는 경우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현재의 P2P(Peer to Peer) 파일 공유 방식이 P2G(Peer to Grid) 형태로 바뀔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합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4년 9월 SK텔레콤이 IPv6를 처음 상용화했습니다. 이후 2016년 7월 기준 SK텔레콤 가입자의 약 25%인 600만 명이 IPv6 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IPv6 주소를 가진 기기는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반응형

출처

IPv6

 

728x90
반응형
LIST